품의약품안전처(처장 오유경) 화장품 연구·개발을 위한 기초자료·정보 제공하기 위해 2022년 상반기 기능성화장품 심사(보고) 품목 통계자료 공개했습니다.

 

 ㅇ 2022년 상반기 기능성화장품 심사(보고)로 본 주요 내용은 ▲자외선차단·두발용 제품개발 증가 ▲피부장벽 기능개선 화장품 등 신규 개발 증가 전체 품목 중 약 93%가 국내 제조 제품 작년 상반기 대비 품목 수 2.5% 증가입니다.

상반기 자외선차단·두발용 기능성화장품 개발 증가

1 자외선차단용제품, 두발용제품류 개발 증가

 

 ㅇ 기능성화장품 중 자외선차단용제품, 두발용(염모, 탈모완화) 제품류 심사(보고) 품목은 작년 상반기 대비 각각 17.6%, 10.8% 증가했습니다. 반면에 미백·주름개선 이중기능성 제품 여드름성 피부 완화 제품은 각각 5.5%, 23.8% 감소했습니다.

   자외선차단용 (21 ) 1,785건 → (22 ) 2,242
   두발용(염모, 탈모완화) (21 ) 2,050건 → (22 ) 2,272
   미백 및 주름개선 (21 ) 5,036건 → (22 ) 4,759
   여드름성 피부완화 (21 ) 201건 → (22 ) 153   
 
 

2 피부장벽 기능개선 화장품 등 신규 개발 증가

 ㅇ 피부장벽의 기능을 회복하여 가려움 등의 개선에 도움을 주는 기능성화장품은 2021년 식약처가 인체적용시험 가이드라인* 마련·배포한 후 제품개발이 서서히 증가하고 있습니다.

    * 피부장벽의 기능을 회복하여 가려움 등의 개선에 도움을 주는 화장품의 인체적용시험 가이드라인(21.6 발간)

  - 아울러 신규 주성분을 활용한 제품 개발도 증가하고 있습니다.

 

   피부장벽 기능회복 (21 ) 0건 → (21년 下) 3건 → (22 ) 3
   신규 주성분 (21 ) 1건 → (21년 下) 4건 → (22 ) 9     

 2022년 상반기 기능성화장품 심사(보고) 품목 중 국내 제품 93% 차지

 ㅇ 올해 상반기 기능성화장품 심사 중 국내 제조 품목 수 8,783건, 수입 품목 664으로 국내 제조 품목 비중이 93% 확인습니. 작년 상반기 90.9%(국내 8,378, 수입 836), 하반기 92.9%(국내 7,098건, 수입 544건)에 이어 국내 제조 품목 비중 90% 이상 지속해서 유지하고 있습니다.

 

   국내 제조 품목 비중
 (21 ) 90.9%(국내 8,378, 수입 836)  (22 ) 93.0%(국내 8,783, 수입 664)
 
 

4 2022년 상반기 심사(보고)건수 작년 상반기 대비 2.5% 증가

 ㅇ 기능성화장품 심사(보고) 품목은 작년 상반기 대비 2.5% 증가(9,214→9,447건)했습니다. 심사 품목 11.9% 감소(551건→485건)했지만, 보고 품목 3.5 % 증가(8,663건→8,962건)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

 

 · 기능성화장품으로 인정받으려면 식약처장의 심사를 받거나 식약처장에게 보고서를 제출해야 함. 식약처장이 고시한 품목이나 이미 심사받은 품목과 효능·효과를 나타내는 원료의 종류·규격·함량, 효능·효과, 기준 및 시험방법, 용법·용량, 제형 등이 같은 품목은 심사 대신 보고서를 제출하여 기능성을 인정받을 수 있음

  - 기능성 별 심사 자외선차단 176건(36.3%), 미백·주름개선·자외선차단 삼중기능성 81(16.7%), 미백·주름개선 이중기능성 76(15.7%), 염모(탈염·탈색 포함) 39건(8.0%) 으로 많았습니다.

  - 기능성 별 보고 미백·주름개선 이중기능성 3,248건(36.2%), 염모(탈염·탈색 포함) 1,398(15.6%), 미백·주름개선·자외선차단 삼중기능 1,088(12.1%), 주름개선 875(9.8%), 자외선차단 819(9.1%), 탈모증상 완화 818건(9.1%) 으로 많았습니다.

 

 
 
 
 

 ㅇ 올해 상반기 심사(보고) 품목 중 단일·이중·삼중기능성 화장품 각각 52%, 36%, 12%로 나타났습니다.

 

  - 작년 상반기 대비 단일기능성 제품은 유사한 수준이었으나, 미백․주름 또는 미백․자외선차단 등 이중기능성 제품 4%, 미백․주름․자외선차단 삼중기능성 제품 12% 증가했습니다.

  - 식약처는 편리하고 다양한 제품을 원하는 소비자 요구 증가하고 제품의 고부가가치 추구하는 업체 늘어남에 따라 이중·삼중기능성 화장품 개발 심사(보고) 품목 증가할 것으로 예상하고 있습니다.

 
 
  
   단일기능성 제품 (’21 上) 4,897건 → (’22 上) 4,876건
   이중기능성 제품 (’21 上) 3,269건 → (’22 上) 3,402건(4% 증가)
   삼중기능성 제품 (’21 上) 1,048건 → (’22 上) 1,169건(12% 증가)
 

 식약처는 이번에 공개한 통계자료가 기능성화장품 연구개발을 위한 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하며, 앞으로도 규제과학 바탕으로 국내 기능성화장품 업계 연구·개발 지원하겠습니다.

 ㅇ 자세한 내용은 식약처 대표 누리집(www.mfds.go.kr) → 화장품 정책정보 → 화장품자료실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 

출처 - 식품의약품안전처

 

반응형
  •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
  •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
  • 페이스북 공유하기
  •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